프로그램 개요

12월 12일(목)
구분 세계로룸 Ⅰ 세계로룸 Ⅱ 세계로룸 Ⅲ 창조룸 Ⅰ
09:00~10:30 등록 및 접수(제2전시장 앞 등록처) 법정 교육
(보수 교육)
10:00~10:30 전시장 개장식(전시장 입구)
10:30~12:00 협회 창립기념식
12:00~13:00 협회 만찬 (루치아 홀)
13:00~13:30 고려대학교
방역전문가과정
총동문회
(1~2시)
13:30~14:00 학술대회 개회식
14:00~15:00 초청강연 <질병관리청 세션>
‘24년 매개체감시 평가대회
 
* 2025년 매개체감시를 위한 보건 환경연구원 협력 회의
 
*<매개체 감시·방제 평가회> 우수사업 유공자 포상
 

* 해외유입 붉은불개미 발생현황 및 대응방안(박상현교수)
* 기후변화 매개체(모기·참진드기·털진드기) 우수사례(유공기관)
* `24년 기후변화 매개체 거점센터 운영 결 과 및 향후 운영 방안(김현우연구사)
15:00~15:10 Coffee Break
15:10~16:10 공동 세션

* 천연살생물제 개발 및 사업화 전략(김순일 교수)
* 식품 관련 시설의 친환경 해충 유입억제 방안(나자현 교수)
16:10~16:30 휴식
16:30~17:30 공동 세션

* 서울 내 대발생 곤충 확산 실태 및 대응방안 (김선주 박사)
* 전문 가축방역위생관리업 육성 및 방역 활용 방안(유종철 협회장)
* 기후변화로 인한 동물 매개체 질병의 위협 및 관리방안(문진산 연구원)
17:30~17:40 휴식
17:40~18:00 2024 한국방역학회 정기총회
18:00~20:00 저녁 식사 및 간친회(루치아 홀)
12월 13일(금)
장소 세계로룸Ⅰ~Ⅱ 세계로룸 Ⅲ 창조룸 Ⅱ 창조룸Ⅰ
구분 <질병관리청 세션>
매개체 방제
세션 1 (학회) 세션 2 (기업) 법정교육
09:00~10:00 * 근거중심방제사업 결과(양영철 교수)
* 지자체 근거중심 매개체 방제 우수사례(유공기관)
* 말라리아 조기진단 소개 및 결과(이명노 연구사)
* 말라리아 진단 및 매개체 감시 우수사례(유공기관)
* 국내 돌발해충 발생현황 및 대응방안(박선재 연구관)
*IT를 활용한 모기관리기술 개발(박준영부사장, 인센소리)
*살충제의 개발 흐름과 제형의 변화(황태구소장, 국보)
*바이오모사기술을 응용한 나노살균소재개발(김창주대표, 알투랩)
*프리미엄 방역회사로 도약을 위한 방역원의 역할 (임종혁 대표, 코덱스)
*건강한 주거환경을 위한 IPM적 접근과 지속가능성(하효선 실장, ㈜가온아이피엠)
신규교육
10;00~10:20 Coffee Break
10:20~11:40 *물리적 해충방제 수단으로 서의 라이트 트랩, 해충기 피램프, 냉각스프레이의 성능 평가(서울대 손민근 연구원)
*모기방제전문가 교육과정 개발(권형욱 교수 인천대)
*국내 보건소 현장 모기방제 실태 및 개선방향(양영철교수, 을지대)
*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(박성진 교수, 고려대)
*2024 방역소독 관련 기사 리뷰 및 주요 에피소드 (최기현 박사, 좋은생활환경)
*쏘임 피해주는 권연벌레 기생하는 해충의 동정 및 IPM 적용 사례 (장영진 대표, 벅스클린)
*기후변화에 따른 모기방제수단 소개(이은복 해충연구소장, 파브르)
11:40~12:00 폐회식(시상)
12:00~13:00 중식(기내식당)
13:00~16:00 (13:30~15:30)
방역산업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
<질병관리청 세션>
매개체 방제
 
*감염병 매개체 친환경 종합방제(이희일과장)
* 국내 모기 관리 계획(조선란 연구사)
16:00~18:00 신규교육
전시회 프로그램

일정 : 12월 12일(목) 09:00~18:00 / 12월 13일(금) 09:00~16:30
장소 : 제2전시장

※ 세부 프로그램은 변동될 수 있음